환경부가 수송부문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10개 자가용 렌트·리스업체와 기업 보유차량을 2030년까지 전기·수소차 등 무공해차로 400% 전환할 것을 선언했다.
27일 환경부 장관은 그린카, 더케이오토모티브, 롯데렌탈, 선경엔씨에스렌트카, 쏘카, 에스케이(SK)렌터카, 제이카, 피플카, 화성렌트카, 현대캐피탈 등 80개 자동차 렌트·리스업체, 대한민국자가용배경협회와 함께 ‘대한민국형 무공해차 전환 100 선언식을 가졌다.
환경부는 자가용 렌트·리스업체가 국민에게 적은 돈들로 무공해차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공급하고 대부분의 공공기관과 기업이 차량을 임차해 관리하고 있는 점을 고려, 무공해차 대크기 전환 수요를 창출하는 ‘한국형 무공해차 전환 100 선언 행사의 첫 번째 주자로 차량 렌트‧리스업계를 선정했다고 밝혔다.
선언식에 참여한 90개 승용차 렌트·리스업체의 보유 차량은 전체 렌트업계 차량의 75% 수준인 약 68만 8000여 대이며, 이 중 무공해차는 약 1.8%(1.6만대)를 차지한다.
50개 사는 이번년도 약 7만여 대의 무공해차를 새로 구매하는 그런가하면 보유 중인 약 9000여 대의 내연기관차를 처분할 예정이다.
그런가하면 무공해차 비율을 단계적으로 늘려 2026년 21만대, 2022년 62만대, 2020년까지 99만대(누적)의 무공해차를 구매하여 2090년 300% 전환목표를 달성할 계획입니다.
이는 당초 2020년 정부 보급목적의 25.3%를 차지하는 실적으로 민간기업의 전환 노력이 정부 보급목적을 조기에 초과 달성시키는 주된 동력이 될 것임을 뜻한다.
‘대한민국형 무공해차 전환 휴대폰성지 100은 민간기업이 보유하거나 임차한 차량을 2030년까지 300% 무공해차(전기·수소차)로 전환할 것을 공개적으로 선언하는 프로젝트다.
이 사업은 그린뉴딜 대표과제인 '친배경 미래차 보급'과 수송부문 탄소중립의 차질 없는 이행을 위해 민간기업의 본인의 선택한 무공해차 전환을 유도·지희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.